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평소 많은 분들이 헷갈리고 어려워하시는 명절 차례상 차리기와 제사상 차리기에 대한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저도 자주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제가 매년 참고하려고 스스로 블로그에 포스팅해놓고 매년 찾아보려는 의도도 있어요ㅎㅎ

 

 

차례상을 차리는 방법은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만, 차례상을 차리는 큰 원칙은 거의 동일합니다.

 

차례상은 보통 5열로 차립니다. 병풍에서 가까운 쪽을 1열로 표현하겠습니다.

 

● 1열 : 반서갱동 시접거중 : 술잔, 밥, 시접, 국, 떡국

 - 시접과 술잔을 놓고 밥을 올림. 지역에 따라서는 설 차례상에는 떡국을, 추석 차례상에는 송편을 올리는 곳도 있다. 상을 차리는 사람이 봤을 때 밥과 술잔은 왼쪽(서쪽), 오른쪽(동쪽)에는 떡국을 놓고 시접은 가운데에 둠. 

 

2열 : 어동육서 동두서미 : 육전, 육적, 소적, 어적, 어전

 - 2열에는 고기, 소적(두부)와 생선류 순서로 올림. 고기로 만든것은 왼쪽(서쪽)에, 생선으로 만든 것은 오른쪽(동쪽) 에 놓아야 한다(어동육서). 생선을 놓을 때에는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놓는다(동두서미).

 

3열 : 탕 : 육탕, 소탕, 어탕

 - 3열에는 육탕(고기), 소탕(두부, 채소로 만든 탕), 어탕(생선)을 올린다. 2열과 마찬가지로 어동육서(어탕은 동쪽, 육탕은 서쪽)의 순서로 놓는다. 촛대는 3열의 좌우에 위치하도록 놓는다.

 

4열 : 좌포우혜 : 포, 삼색나물, 침채(물김치), 식혜

 - 4열에는 생선포, 식혜, 나물류를 놓는다. 생선포는 왼쪽(서쪽)에, 식혜는 오른쪽(동쪽)에 올리고, 삼색나물은 도라지, 고사리, 시금치 로 올리는 것이 일반적.

 

5열 : 조율이시 홍동백서 : 대추, 밤, 배, 감

 - 5열에는 왼쪽(서쪽)부터 대추, 밤, 배, 감(곳감)의 순서대로 놓는다(조율이시). 그리고 오른쪽(동쪽)에는 '홍동백서' 만 기억하고, 붉은과일(홍)은 동쪽, 흰색과일(백)은 서쪽으로 놓는다. 그리고 약과, 한과, 강정 등을 올림

 

 

 

 

제사상 또한 음식 놓는 위치는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지역마다 올리는 음식이 조금 다를 뿐...

요즘은 간소화 하는 곳도 많아졌고, 딱딱한 분위기도 아니라서 생전에 좋아하셨던 음식을 올리거나 하는 곳도 많다고 들었습니다.

돌아가신 분이 생전에 피자와 치킨을 좋아하셔서, 제사상에 피자, 치킨을 올리는 곳도 있다고 하더군요. 개인적으로는 나쁘게 보이지는 않습니다.

 

 

출처 : SBS뉴스 (하단 링크 클릭)

 

 

피자·치킨 차례상 논란…“진짜 전통은 정성”

올해 차례상 어떻게 차리십니까? 요즘엔 차례상에 올리는 음식들이 예전과는 많이 달라졌지요. 피자 차례상, 치킨 차례상을 놓고 뜨거운 논쟁도 있었는데, 이쪽 저쪽의 의견을 다양하게 들어보

news.sbs.co.kr

 

● 차례상차림, 제사상차림과 관련된 용어 12가지

 차례상, 제사상을 차릴 때 기본적인 순서나 규칙을 한자로 나타낸 용어인데, 이런거 기억 해 두시면 상차림 하실 때 조금은 더 수월하게 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① 어동육서 : 생선은 동쪽에, 고기는 서쪽에 배치시킨다

 ② 동두서미 : 머리는 동쪽으로 향하고,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한다

 ③ 직접거중 : 구이(적)은 가운데에 배치시킨다

 ④ 시접거중 : 수저를 담은 그릇은 신위의 앞 중앙에 놓는다.

 ⑤ 고비합설 : 내외분일 경우 남자조상과 여자조상은 함께 차린다.

 ⑥ 반서갱동 : 밥은 서쪽, 국은 동쪽으로 배치시킨다. (살아있는 사람의 밥을 차릴때와 반대방향)

 ⑦ 배복방향 : 닭이나 생선포는 등이 위로 향하게 놓는다.

 ⑧ 면서병동 : 국수는 서쪽, 떡은 동쪽으로 놓는다.

 ⑨ 홍동백서 :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⑩ 조율이시 : 왼쪽부터 대추(조), 밤(율), 배(이), 감(곶감)(시) 순서로 배치시킨다.

 ⑪ 숙서생동 : 익힌 나물은 서쪽, 생나물은 동쪽에 놓는다.

 ⑫ 서포동해 : 포는 서쪽에 놓고, 젓갈(생선)과 식혜는 동쪽에 놓는다.

 

 

● 차례상 차릴 때 주의할 점!!

 

① '~치' 자로 끝나는 생선은 올리지 않는다.

 예로부터 삼치, 꽁치, 갈치 등 끝에 '치' 자가 들어간 생성은 흔한 생선이라고 하여 차례상에 올리지 않는다.

 

② 털이 있는 과일은 올리지 않는다.

 예로부터 조상님들은 복숭아가 귀신을 물리치는 힘이 있다고 믿어서 차례상에는 올리지 않았다고 한다. 과일 중 복숭아와 같이 털이 있는 과일은 차례상이나 제사상에 올리지 않는다.

 

③ 향신료는 사용하지 않는다.

 향신료, 특히 고춧가루나 마늘은 귀신을 내쫓는 대표적인 향신로로, 사용하면 조상님들의 령이 올 수 없다고 믿기때문에, 차례 음식에는 향신료를 사용하지 않는다.

 

④ 과일 종류는 짝수로, 과일 개수는 홀수로 올린다.

 홀수는 양을 의미하고, 짝수는 음을 의미합니다.

 과일은 땅에 뿌리를 두고 나는 음식이니 '음' 에 해당하고, 따라서 음에 해당하는 짝수만큼 종류를 놓습니다.

 하지만 음양의 조화를 이루어 놓아야 하기 때문에, 각 과일의 개수는 '양'을 의미하는 홀수의 개수로 과일을 올립니다.

 (과일 2가지종류 각각 3개씩, 과일 4가지종류 각각 3개씩 등)

 

⑤ 붉은 팥은 사용하지 않는다.

 차례상을 차릴 때는 붉은 색이 조상을 쫓는다고 해서, 붉은 팥을 사용하지 않고 흰 고물의 떡을 사용해야 합니다. 

 제사상에서는 붉은 판 시루떡을 사용해도 된다고 해요.

 

 

 

● 지방 쓰는 법

◎ 지방이란?

 신주(죽은 사람의 이름과 날짜를 적은 위패)를 모시고 있지 않은 집안에서 차례나 제사에 조상을 모시기 위해 종이에 적는 것.

 

◎ 지방쓰는 법

 명절 차례상에 올리는 지방은 폭 6cm, 길이 22cm가량의 종이에 쓰되, 원칙은 한자로 쓰는 것이지만 최근에는 한글로 적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음.

 - 제사를 지낼 때 부모 한쪽이 생존해 있을 경우는 단독으로 지내니 지방에도 한 분만 쓴다.

 - 부모님 두분 다 돌아가시면 같이 지내므로 지방에 부모를 같이 쓴다. (오른쪽: 어머니의 신위, 왼쪽: 아버지의 신위) 

 - 지방에는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顯)’자를 맨 위에 쓴다. 이어 제사를 지내는 사람(제주)과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을 적고 마지막에 신위(神位)를 적는다.
 - 직위를 적을 때는 벼슬을 했다면 관계 뒤 벼슬 이름을 씀. 벼슬을 지내지 않았다면 남자 조상은 ‘학생(學生)’, 여자 조상은 ‘유인(孺人)’이라고 적는다.

 

 

 

 이상으로 '차례상 차리기', '제사상 차리기', '차례상 차리는 순서', '명절 차례상 차리는 법', '차례상 순서' 에 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모두 즐거운 명절 되시기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